-
목차
장애인 복지 혜택 중 가장 실속 있는 제도, 장애인누림통장.
“매달 10만원 저축하면 정부가 10만원 더?”
이게 바로 누림통장이 가진 힘입니다.단순한 통장이 아닙니다.
이건 정부가 당신의 자산 형성을 돕는 기회 통장입니다.
장애인누림통장이란?
장애인누림통장은 중위소득 이하의 장애인이 일정 금액을 저축하면,
정부 또는 지자체가 같은 금액을 추가로 적립해주는 자산형성 복지 통장입니다.👉 예를 들어, 내가 매달 10만 원을 저축하면
👉 지자체에서 10만 원을 더해 총 20만 원이 매달 적립!
👉 지원 기간이 길면 최대 3년간 720만 원 이상도 가능!이 통장을 활용하면, 작은 금액으로도 목돈 마련 + 미래 설계가 가능합니다.
신청 조건은?
다소 지자체마다 다르지만, 공통 조건은 아래와 같습니다:
- 만 15세 이상 장애인
- 중위소득 100% 이하
- 근로 중이거나 자립 의지가 뚜렷한 경우
- 본인 명의 통장 개설 가능
시도별 장애인 자산형성 통장 비교
지역마다 프로그램 이름은 다르지만, 핵심은 동일합니다.
아래 정리된 내용은 주요 지자체별 누림통장 혜택 비교표입니다.✅ 경기도 – 장애인 누림통장
- 지원 대상: 만 19~23세 중증장애인
- 매칭 방식: 본인 10만 원 저축 시 경기도 + 시군 각 10만 원 지원 (총 30만 원)
- 기간: 24개월
- 문의: 누림센터 1544-6395
✅ 서울시 – 이룸통장
- 지원 대상: 만 18~34세 중증장애인
- 매칭 방식: 본인 10 or 15만 원 저축 + 서울시 15만 원 지원
- 기간: 36개월
- 운영처: 서울시복지재단
✅ 충남 아산시 – 반짝자립통장
- 지원 대상: 만 15~39세 중증장애인
- 매칭 방식: 본인 10~20만 원 저축 + 아산시 15만 원 지원
- 기간: 36개월
- 신청처: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 다른 지역에서도 유사한 통장이 운영 중이니,
반드시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에 문의하세요!
✅ 지역별 장애인 누림통장 비교표
지역통장 명칭지원 대상본인 저축액매칭 지원액지원 기간신청 방법경기도 누림통장 만 19~23세 중증장애인 1~10만 원 경기도+시군 각 10만 원 (최대 월 20만 원) 24개월 주민센터 방문 / 누림센터 문의 서울특별시 이룸통장 만 18~34세 중증장애인 10만 or 15만 원 서울시 15만 원 추가 지원 36개월 서울시복지재단 통해 신청 충남 아산시 반짝자립통장 만 15~39세 중증장애인 10~20만 원 아산시 15만 원 지원 36개월 읍·면·동 행정복지센터 방문 기타 지자체 (지역별 명칭 상이) 지역 거주 중위소득 이하 장애인 10만 원 전후 지자체별 지원금 상이 보통 24~36개월 해당 주민센터 문의
📊 장애인 자산형성통장 저축 시뮬레이션 (36개월 기준)
1️⃣ 플랜 A: 월 10만 원 저축
- 정부 지원: 15만 원
- 총 월 적립액: 25만 원
- 🟢 3년 후 누적: 900만 원
2️⃣ 플랜 B: 월 15만 원 저축
- 정부 지원: 15만 원
- 총 월 적립액: 30만 원
- 🔵 3년 후 누적: 1,080만 원
3️⃣ 플랜 C: 월 20만 원 저축
- 정부 지원: 15만 원
- 총 월 적립액: 35만 원
- 🟠 3년 후 누적: 1,260만 원
📌 가정 조건
- 정부/지자체 지원액은 월 15만 원 고정
- 기간은 최대 36개월
- 지원 기준 및 매칭액은 지자체별 상이할 수 있음
실제 수혜자 이야기
서울에 거주하는 청각장애인 김지영(가명) 씨는
‘이룸통장’에 가입해 매달 15만 원씩 3년간 저축했습니다.
정부 매칭금으로 총 1080만 원을 마련한 후,
피부관리사 자격증 학원 등록 + 취업 준비에 활용했죠.“처음엔 작아 보여도 꾸준히 모으면 인생이 바뀌더라고요.”
– 지영 씨 인터뷰 中
어떻게 신청하나요?
📌 신청은 아주 간단합니다:
- 거주지 읍·면·동 주민센터 방문
- 신청서 작성 및 자격 증빙
- 적격 여부 심사
- 통장 개설 후 매달 자동이체 등록
💬 지자체별 이름이 ‘누림통장’, ‘자립지원통장’, ‘희망저축계좌’ 등 다를 수 있으니 명칭을 정확히 확인하세요!
마무리 정리
✔️ 소득이 낮아도
✔️ 당장 여유가 없어도
✔️ 정부와 함께 시작하면 가능합니다.장애인누림통장은 단순한 복지가 아닙니다.
이건 함께 만드는 미래, 함께 모으는 희망입니다.
- 이 글이 도움이 되셨다면 댓글 & 공감 부탁드려요!
- 주위에 장애인 친구나 가족이 있다면 꼭 공유해주세요.
'사회복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긴급복지 의료비·주거비 지원도 함께 받는 법 (0) 2025.04.09 🔋 2025년 저소득층 에너지 바우처 신청 여름 바우처 + 겨울 바우처 통합 신청 가능 (0) 2025.04.09 💸 소득 급감 시 바로 신청! 2025 긴급 복지 생계비 지원 조건 알아보기 (0) 2025.04.09 🆘 2025년 긴급 복지 지원 제도, 달라진 기준과 신청 방법 총정리 (0) 2025.04.09 탄소중립 포인트 제도란? 혜택과 참여 방법 총정리 (+추천 앱 안내) (0) 2025.04.09